일상

[부도산 경매] 말소기준권리 정리

HY0822 2023. 5. 9. 23:49

부동산경매를 할 때에 있어 말소기준권리를 모르고 경매를 한 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입니다.

경매를 낙찰받았을 때 그 경매 물건에 대한 여러 가지 권리가 있는데

부동산과 함께 내게 귀속되는 권리와 말소(소멸)가 되는 권리를 알아야 입찰을 할지 말 지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 입다. 

 

개념

말소기준권리?

- 경매물건에 설정된 권리들 중 인수와 소멸을 결정하는 기준이 되는 권리

 

말소의 기준 : 돈을 받으면 소멸이 되는 권리

 

종류

1. 근저당

-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려주는 대신, 대출자로 부터 후순위 채권자보다 먼저 채무를 변제 받을 수 있는 권리.

 

2. 압류

- 국가의 권력으로 재산을 처분하지 못 하게 하는 행위 (국가 vs개인)

 

3. 가압류

- 개인의 신청을 통해 재산을 처분하지 못하게 하는 행위 (개인 vs개인) 

 

4. 전세권

- 타인의 부동산을 점유하여 사용할 권리로. 전입신고를 통해 대항력을 가질 수 있다.

 

5. 담보가등기

채무자 소유의 부동산을 채권변제의 담보로 삼기 위한 임시등기.

 

6. 경매개시결정등기

법원이 경매신청이 적법한지를 판단, 매각결정을 내리는 것 - 경매개시결정

그 경매개시결정을 등기부등록에 기입 - 경매개시결정등기

 

 

 


 

 

 

어려운 부동산용어를 최대한 쉽게 설명해 보았는데요.

이해가 좀 되시나요?

저도 이해하는 대에 시간이 많이 걸렸답니다.

 

하지만 알아두면 피가 되고 살이 되는 부동산지식!

우리 모두 부동산공부합시다.^^