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상

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적금 (신청기간/조건/금리/금액/무직/공무원/동시가입)

HY0822 2023. 5. 5. 12:48

✔️신청기간 : 2023년 6월 중 출시 (정확한 날짜 차후 공지 예정)

✔️신청자격, 조건 :
1. 2023년 기준 소득이 있는 19 ~ 34세 청년 (1988~ 2004년 생)
2. 6,000만 원 이하,  중위소득 180% 이하

※중위소득 (가구당 총소득의 중간값)
2023 기준 (단위 : 연)
1인 2,077,892원
2인 3,456,155원
3인 4,434,816원
4인 5,400,964원
5인 6,330,688원
6인 7,227,981원

(1, 2를 둘 다 충족해야 함)

출처 : 금융위원회


✔️공무원 / 대학생 / 아르바이트 / 무직
소득이 있는 청년만 가입 가능
➡️그러므로 공무원 가능
➡️고용보험에 가입된 아르바이트생 가능
➡️소득이 없는 대학생, 무직은 불가능


연 소득 2,400 이하 가입자를 기준으로
월 70만 원을 납입하면 40만 원에 대해 6%(월 2.4만 원)의 정부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.

아직 은행 금리에 대해 정확히 명시된 바가 없어
5년 후에 정확히 얼마를 수령할 수 있는지는 알 수 없지만
(원금 + 정부지원금 + 은행이자) × 5년 = 대략 5천만 원을 받을 수 있다.

소득이 낮을수록 금리가 높으니 유리하다.

요즘 금리가 높은 적금상품이 많이 나와
연 소득 4,800만 원을 초과한다면 5년이라는 긴 가입기간을 고려했을 때 메리트가 없다고 느낄 수 있다.
하지만 비과세혜택과 장기적으로 꾸준한 자산형성을 원한다면 가입하는 것 또한 괜찮다.

납입금액은 본인이 장기적으로 낼 수 있는 금액을 설정하는 게 중요하다.

✔️청년내일저축계좌 / 청년(재직자) 내일채움공제 / 지자체 상품 등 동시가입 가능

✔️청년희망적금은 만기 또는 중도해지 후 청년도약계좌 순차 가입 허용